지난 15일 한양대구리병원 응급의학과 강보승 교수는
“한국인의 40%는 술을 조금만 먹어도 위험합니다. 몸이 빨개진다면 아예 술을 마시지 않은 게 좋습니다”고 전했다.
다가오는 연말에 술자리가 잇따르는 가운데 한국인의 40%가 술을 마시지 말아야 한다는 의료진의 경고가 이목을 끌고 있다.
강 교수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인의 약 40%는 소량의 음주에도 특이적인 생리반응을 나타낸다.
안면홍조, 메스꺼움, 졸음, 아침 숙취, 실신 등의 반응을 나타낸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서양인과 확연히 다른 특징으로, 술을 조금만 마셔도 몸이 빨개지고 힘든 사람들은 건강을 위해 소량의 술도 마시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 교수는 이런 주장의 글(letter)을 미국신경학회 공식 학술지(neurology)에 게재했다.
이 글은 정식 논문은 아니지만 ‘하루에 3~4잔 이내로 소주를 마시는 남성은 뇌졸중(뇌경색)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국내 연구팀의 연구논문을 반박하기 위해 쓴 글이다.
보통 몸속으로 들어온 술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물질로 바뀌어 분해된다.
이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에서 분해될 때 여러 독성 반응을 일으킨다.
얼굴이 붉어지고, 구역질이 나고,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등의 증상이 대표적이다.
강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이런 증상은 유전적인 이유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한국인 등의 동아시아인이 서양인보다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 처리하는 기능이 절반 이하, 심지어는 10분의 1 수준으로 낮기 때문에 발생한다.
강 교수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효소가 약한 것 자체가 심근경색의 중요한 위험요인이고,
이는 당연히 뇌혈관이 막히게 할 위험도 높인다”
“이런 인종적 차이를 간과한 채 서양인처럼 소량 음주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그는 술과 더불어 담배를 피우는 것이 이러한 위험성을 더 높이는 행동이라고 경고했다.
담배를 피울 때 나오는 성분에도 아세트알데히드가 들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술을 마실 때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금연을 실천할 것을 당부했다.
음주 전문가들은 어쩔 수 없이 술을 마셔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1. 빈속에 술을 마시지 말 것
2.휴간일(간을 쉬게 하는 날)을 정할 것
3.술을 마신 후에는 적어도 48시간 금주할 것
4.가능하면 천천히 마시고, 폭탄주는 금할 것
5.음주 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할 것 등을 권고한다.
인제대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이준형 교수는 “술을 마실 때 충분히 수분을 섭취 하는 게 최선” 이라며
“전해질 성분이 많이 함유된 국물이나 과일주스, 이온음료 등을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