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원정대 에드먼드 힐러리(Edmund Hilary)와 셰르파인 텐징 노르가이(Tenzing Norgay)는 1953년 최초로 에베레스트 첫 등정에 성공했다.
해발 8,848m인 이 험난한 산을 정복하기 위해 지금까지 약 4,000여명이 도전했다.
그러나 그 중 260여 명은 영원히 돌아오지 못했다.
에베레스트에는 ‘죽음의 구역(Death Zone)’ 이라 불리는 마의 구간이 있다.
바로 해발 약 8,000m 부터 정상에 이르는 구간이다.
그 거리가 채 1km가 안돼 듣는 것 만으로는 짧게 느껴지지만 에베레스트에서의 1km는 평지와는 차원이 다르다.
고지에서 산소량은 평지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산소가 부족한 이곳에 있는 느낌을 산악인들은 “피가 탁해진다”고 표현한다.
혈중 산소 포화도가 떨어져 피가 진득해지는 것 같기 때문이다.
정상 부근에서 산소포화도는 약 60%로 급격하게 떨어진다.
서 있기만 해도 산소가 모자라 목숨이 위태로울 정도다.
날씨 또한 악조건 중 하나이다. 자칫 하산 시간을 어기면 험한 날씨 때문에 목숨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극한의 악조건은 시신을 수습하는 것도 어렵게 만든다.
시신 수습 과정에서 또다른 생명이 위협받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방치된 몇몇 시신은 에베레스트를 등정하는 등반가들에게 ‘이정표’로 쓰이기도 한다.
죽음의 구역 근처 ‘초록 부츠(Green Boots)’ 시신은 이 중 하나다.
등반을 위해서 반드시 지나쳐야 하는 지점에 시신이 있기 때문이다.
한 등반가는 “초록 부츠 시신이 있는 구역에서 쉬는 게 좋다는 속설이 있다”며 “일종의 표식같다”고 말했다.
초록 부츠 시신 외에도 ‘인사하는 사람’, ‘피터 보드맨’등의 시신이 등반가들의 ‘이정표’가 되어 주고 있다.
에베레스트에는 150여 구에 달하는 시신이 모여있다.
이 때문에 에베레스트는 ‘세상에서 가장 큰 공동묘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 등반가는 “눈 앞의 ‘정상’을 포기하지 못 해 죽음을 맞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아무리 정상이 눈앞에 있다고 하더라도 무작정 오르기보단 유동적으로 상황에 대처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산악인 엄홍길은 “산도, 인생도 내려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상만을 바라보는 도전 정신도 아름답지만 때로는 정상보다 더 중요한 것을 위해 일 보 후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