찐득한 점액질을 뿜어내며 물컹거리는 질감을 가진 괴생명체가 전 세계의 강에서 출몰하고 있다.
최근 온라인 매체 엘리트리더스(Elitereaders)는 사람의 뇌와 유사한 모양의 거대한 괴생명체가 강에서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는 충격적인 이야기를 보도했다.
캐나다 밴쿠버의 도심 공원인 스탠리 공원(Stanley Park)의 수질을 분석하던 환경생태학자 캐슬린 스터몬트 (Kathleen Stormont)는 최근 인근 습지대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답사를 나섰다.
습지대를 둘러보던 중 캐슬린은 습지대의 바닥에서 고동색의 색을 띠면서 사람의 뇌 모양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수백 개의 괴생명체를 발견했다.
물컹거리며 미끄덩거리는 흉측한 모습에 캐서린은 경악했지만, 확인결과 괴생명체의 정체는 바로 ‘큰빗이끼벌레(Pectinatella magnifica)’였다.
큰빗이끼벌레는 1mm 안팎의 아주 작은 개체들이 뭉쳐 한 덩어리를 이루며 살아가는 태형동물이다.
주로 유속이 느린 호수나 그늘진 습지대, 댐에 주로 서식한다.
생태학자들은 “큰빗이끼벌레는 아메리카 지역이 원산지이지만 최근 들어 개체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이상현상이 목격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더 나아가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되지 않던 곳에서도 자주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서식지가 넓혀지는 것은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를 뜻하는 현상으로 조금더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환경 전문가들은 큰빗이끼벌레의 개체 수가 점차 증가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기후변화를 꼽았다.
환경 오염으로 인해 기후가 급격하게 변화하며 기존의 생태계가 파괴돼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이라는 것.
또한, 일부 환경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큰빗이끼벌레는 1~3급수의 비교적 깨끗한 수질의 물에서만 서식하며 수질이 조금이라도 나빠질 경우 쉽게 죽어버린다고 한다.
이 때문에 큰빗이끼벌레가 수질오염의 증표라는 의견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도 확실한 것은 큰빗이끼벌레의 기하급수적인 개체 수 증가가 ‘생태계 변화의 증거’라는 점이다.
지금 이 현상은 자연이 인간에게 일종의 경고를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환경 전문가들은 큰빗이끼벌레의 등장에 주목하며 생태계 변화와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몇 년 전부터 큰빗이끼벌레가 환경계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지난 2014년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이후 금강, 영산강, 낙동강 일대에서 수많은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되어 파문이 일기도 했다.
일부 전문가들과 언론은 이를 보고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환경 파괴의 증거’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오염과 큰빗이끼벌레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해 논란은 지속됐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주로 댐이나 습지대에서 서식하는 큰빗이끼벌레가 강에서 발견되고 있다는 점.
그만큼 강의 유속이 느려졌으며, 이는 곧 녹조를 유발해 생태계를 파괴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고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