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북한 간첩을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게 만든 대학교가 밝혀지면서 화제가 됐다.
1990년 서울의 한 대학교는 아랍 역사 연구를 위해 현지인 사학과 교수를 초빙했다.
초빙됐던 교수는 필리핀인 아버지와 레바논인 어머니 사이서 태어난 무하마드 깐수라는 교수였다.
이 교수는 한국에 들어오고 실크로드를 비롯해 동서 문명 교류사 분야에서 독보적이었다고 한다.
교수는 활발히 활동을 했었고 여러 방면으로 활약을 했다.
사학과 교수로 그를 초빙한 대학교는 단국대였다고 한다.
그는 아랍어, 필리핀어, 영어, 일본어, 불어, 독일어 등 7개 국어를 할 줄 알았다. 한국어는 조금 서툴었지만 금방 한국어도 능통하게 구사했다.
깐수 교수는 자신이 독실한 이슬람교 신자라고 했고 금요일마다 기도를 드렸다고 한다.
사학과 석사 과정 대학원생은 “성격이 밝고 쾌활해 학생들에게 인기있는 외국인 선생님이었다”고 말했다.
또한 이웃 사람들도 “자상한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교수”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근데 1996년 12월 당시 안기부에서 깐수 교수를 간첩 혐의로 체포했다.
깐수 교수의 이름, 국적, 종교 등 모든 것이 거짓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의 원래 이름은 정수일이었으며 북한 간첩이었다.
정말 아무도 그가 간첩일 것이라고 생각치 못했는데 한국에서 만나 결혼한 아내조차 정수일의 정체를 몰랐다. 잠꼬대마저 아랍어로 했기 때문이다.
체포된 순간에도 그는 어수룩한 한국어를 구사하다가 갑자기 멀쩡하게 한국어를 하기 시작했다.
자신이 7개국어를 할 줄 안다고 했지만 거짓말이었다.
사실은 조선어와 한국어를 포함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영어, 아랍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페르시아어, 마인어, 필리핀어 총 13개 국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의심을 피하기 위해 7개 국어를 할 줄 안다고 줄여 말한 것.
재판 과정서 공개된 바에 따르면 정수일이 간첩 활동을 하며 북한에 보낸 정보들은 도움이 될 만한 것이 없었다고 한다.
그는 ‘남한이 북한보다 아랍 역사 연구가 잘 돼있다’며 북한이 본받아야 한다는 의미로 아랍 연구 관련 정보만 많이 보냈다.
그렇게 한국에 전향서를 내고 간첩죄로 복역하다 그동안의 학술적 성과와 적극적으로 간첩 행위에 협조하지 않았다는 사실 등이 참작돼 특별사면으로 출소했다고 한다.
출소 이후 정수일은 아랍 연구 활동을 계속했고 한국과 중동 국가의 관계 개선에 힘썼다.
현재 정수일은 전세계적으로도 권위있는 이슬람권 역사학자로 대접받고 있다.
[저작권자 VONVON/ 무단복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반 시 법적조치)]